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듀얼 퓨얼 엔진 - 선박용 1. 대형 선박용 추진기관은 2 행정 디젤엔진이 일반적입니다. 예전에 선박용 초대형 저속 2 행정 디젤기관엔진을 다룬 적이 있습니다. 최대급 기관은 내경 960mm에, 행정 3500mm에 달할 만큼 내경이 크고 행정이 길지만, 회전 속도에서는 70~80 RPM 정도의 저속인 것도 특징입니다. 이 저속 2 행정 디젤의 연료로는 통상 중유를 사용합니다. 종합 열효율이 50%를 넘을 만큼 고효율을 자랑하는 저속 2 행정 디젤엔진이지만, 엄격해지는 환경 기준을 따라가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적 시도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스위스에 본거지를 둔 윈터툴 가스 & 디젤社가 개발하고, Diesel United가 파일럿 엔진을 제작한 '2 행정 저압 듀얼 퓨얼 엔진인 W6X72 DF에 대해서 기술하겠습니다. 기술적 .. 2023. 7. 5.
이제부터는 천연 가스 엔진 엔진의 다운사이징을 경기가 호조일 때 혼자 주장해서 현실로 연결시킨 히타무라 고이치 박사 그 후 환견 문제를 해결할 차세대 수단으로써 예혼합압축착화연소에 착안해 계속해서 연구해 왔습니다. 그런 히타무라 고이치 박사가 다음으로 눈길을 준 것이 천연가스입니다. 1. 차세대 환경 대책 자동차의 배출량 자동차의 배출 가스 규제가 강화되면서 최신 자동차의 배출가스는 상당히 깨끗해졌습니다. 가장 깨끗한 자동차에서는 도시 공기보다 배기 쪽이 더 깨끗할 정도로서, 그런 자동차로 달리면 공기가 정화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의 상황까지 왔습니다. 배출가스 규제는 앞으로도 강화될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대응으로 미래의 Power train을 예상해 보자면, 지구 온난화의 원인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저감이 최대 과제라고 .. 2023. 6. 27.
알코올을 사용하는 엔진 1. 서론 가솔린이 아니라 알코올을 사용하는 레이싱 엔진은 가혹한 상황에 노출되는 장치에 대체연료를 사용하는 이유는 특성차이나 정책적인 추진 외에도 여러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연료특성에서 오는 운전상태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알코올은 기화잠열이 높고 옥탄가가 높아서 이론공연비가 작습니다. 아메리칸 오픈 휠 모터스포츠의 최상위 카테고리와 알코올 연료의 관계는 1930년 전후로 가솔린에 첨가제로서 메탄올을 사용한 기록이 남아 있을 정도로 오래되었습니다. 알코올 연료가 가진 높은 옥탄가, 즉 항노킹성 향상을 기대한 채택이었는데, 바로 성능향상을 위해서 사용하였습니다. 1969년부터는 메탄올 100% 사용이 의무화되었습니다. 가솔린에 인화되는 화재가 계속해서 발생했기 때문으로, 알.. 2023. 6. 26.
전기차가 늘어나면 CO2 배출량은 감소할까요? 1. CO2 배출량 전기차가 늘어나면 CO2 배출량은 감소할지에 대해서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Battery Electric Vehicle로 주행할 때 분명히 CO2 배출량은 제로입니다. 하지만 주행을 위해서 필요한 전력을 발전할 때, 현재는 여전히 화력발전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2050년 무렵 탄소 중립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가속되면서 자동차에서 엔진이 없어질 것이라는 의견이 만연해 있습니다. 이것은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배출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Battery Electric Vehicle밖에 없다는 단편적인 사고에 기초한 것입니다. 이런 움직임은 Battery Electric Vehicle의 충전으로 인해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량을 잊고 있다기보다 의.. 2023. 6. 13.
전기차 충전규격 CHAdeMO 급속 충전기의 보급은 Battery Electric Vehicle의 편리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지만, 그냥 무턱대고 고출력화나 설치대수만 늘린다고 되는 것은 아닙니다. 안전과 양방향 전력 이동이 가능하다는 보증과 적용 편리성이나 커넥터 등의 균일성 같은 원칙을 지키도록 활동해야 합니다. - CHAdeMO 협의회 1. CAHdeMo CHAdeMo는 충전 대기 시간 동안에 차라도 한잔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서 de는 일본어로 전기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최근에 전기 자동차에 흥미를 갖기 시작한 층에서 보면 이런 명칭 때문에 유럽과 미국과 다른 일본 독자적인 규격이라는 인식을 받을지도 모르겠지만 CAHdeMo는 다수의 자동차 업체가 채택한 세계 최초의 급속충전 규격입니다. 시작은 2005년,.. 2023. 6. 8.
저가 전지 - 자원제약 1. 국립 연구개발 법인인 종합연구개발 기구가 차세대 전지 개발에 나섰습니다. 종합연구개발 기구가 2023년 4월에 현재의 Battery Elelctric Vehicle이나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탑재되는 Li-ion Battery의 성능과 제조 가격 양쪽 측면에서 더 뛰어난 혁신형 전지의 연구개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현재 액체 Li-ion Battery의 전고체화에도 나서고 있지만, 새로운 프로젝트는 차세대형 2차 전지입니다. 사업은 산학관 연대로 진행되는데, 내연기관의 열효율 향상으로 큰 성과를 거둔 정부 주도의 전략적 혁신 창조 프로그램과 같은 산학관 프로젝트로서, 국립연구개발법인 과학기술 진흥기구의 첨단 탄소화 기술개발에서 2013년도부터 진행 중인 차세대 축.. 2023. 5. 30.
다이캐스트(Die Cast) 공법 1. 더 얇고 더 크게 경량화는 자동차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과제 가운데 하나입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절실한 것이 Electric Vehicle입니다. 근래에 Li-ion-Battery 기술이 발전하면서 Electric Vehicle은 내연 엔진을 탑재하는 일반 자동차와 비슷한 이동거리를 얻었지만, 거기에 필요한 Battery는 여전히 크고 무거운 상태입니다. 이 배경에는 이동거리 확보에 필요하다고 해서 더 많은 전력량을 충전할 수 있도록 Battery를 대형화하면, 결과적으로 그 무게를 "운반"하기 위해서 더 많은 전력이 소비되는, 즉 "전력소비율"이 나빠진다는 딜레마입니다. 거기서 탈피하기 위한 대책으로 현재 가장 현실적인 수단은 차량을 가볍게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모두에서 언급했듯이 그 경량화.. 2023. 5. 24.
배터리 기술의 발전 - 래미네이트형 전지 Battery Electric Vehicle을 구성하는 Battery, Motor, Control등과 같은 기술은 계속해서 발전해 가고 있으며, 차량이라는 개념에서 실제 사례를 들어서 설명하겠습니다. 1. 슬림형 전지 Nissan의 LIEF는 2010년에 이미 Global market에서 55만 대 이상 팔렸습니다. 출시된 이래 LIEF의 주행거리는 41억 Km를 넘어섰고, 전지 발화 등과 같은 사고는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Nissan에서는 Li-ion Battery를 1991년부터 개발하기 시작하여 5년 후에는 세계 최초로 구동용 에너지원으로 Li-ion Battery를 사용한 Battery Electric Vehicle인 프레리 조이를 판매하였습니다. Nissan의 Li-ion Battery 탑재 실.. 2023. 5. 22.